본문 바로가기
책이 좋아서/사회,정치

선량한 차별주의자에 소개된 사이언스지 논문

by 김보이 2020. 8. 12.
반응형

성차별 심한 나라일수록 여학생 수학점수 남학생에 비해 낮아... 한국은?

 

안녕하세요 핸수입니다.

요즘 김지혜 교수님의 <선량한 차별주의자>를 조금씩 읽고 있습니다.

책에 이런 내용이 있었어요. (71)

 

성차별이 심한 국가에서 여학생의 수학점수가 더 낮았다는 건데요.

무려 Science에 발표된 논문이라 찾아서 읽어봤습니다. 제목은 <Culture, Gender, and Math>. 논문 제목부터 포스가..

2008년 발표된 논문이고요, 보충자료를 제외한 글 부분은 2페이지로 짧습니다. 2020812일 현재까지 966회나 인용될 정도로 영향력 있는 논문입니다.

 

연구의 핵심적인 내용은 간단합니다. 나라별 문화적 성격차의 정도수학점수에 있어서 성격차의 정도를 비교했습니다. 어떻게 했냐면...

나라별 Gender Gap Index (GGI, 성격차지수)를 나라별 PISA (수학, 읽기) 점수의 성별격차와 비교한 겁니다.

이게 무슨 말이냐면...

 

GGI(Gender Gap Index)?

World Economic Forum (세계경제포럼)에서 2006년 이래 발표하고 있는 남녀간의 성격차지수입니다. 경제 참여와 기회, 교육 성취, 건강과 생존, 정치적 권한 네 개의 하위지표에 대해 남녀격차를 평가하여 종합적인 점수를 내는 방식인데요. 점수는 0~1사이 값을 가지며 1은 격차가 전혀 없거나 여성이 더 높은 점수를 가지고 있음을 의미합니다. 간단히 말해 1에 가까울수록 성평등에 가깝다고 할 수 있습니다.

PISA?

PISA는 세계 각국의 15세 학생을 대상으로 수학, 읽기, 과학 세 가지 과목에 대해 동일한 문제의 시험을 치르는 OECD의 프로그램입니다.

 

 

 

논문의 핵심적인 질문은 이것입니다.

어떤 나라의 종합적인 성격차지수와 15세 학생들의 수학시험점수 성별격차가 관련이 있을까?

 

결론은 관련이, 뚜렷하게 있다는 겁니다.

성격차적인 문화가 심할수록 (GGI가 낮을수록) 남학생에 비한 여학생의 수학점수가 더 낮았어요. 전 세계적으로 수학이라는 과목에 대해 남녀 간의 차이가 존재하는데요. 이것이 생물학적 차이인지 문화적 차이에 의한 것인지 논쟁이 많았다고 합니다. 이 논문은 문화적 차이의 영향이 상당하다는 것을 보여준 것입니다.

 

 

논문의 핵심내용을 떠나 저한테 흥미롭게 느껴진 부분이 있었는데요.

 

1. 수학 말고 읽기 점수는?

논문의 핵심은 수학이지만, 연구자들은 PISA읽기 시험에 대해서도 데이터를 분석했습니다. 읽기 점수는 대부분의 나라에서 여학생의 점수가 남학생의 점수보다 높았어요. 그런데 재미있는 것은 성평등한 나라일수록 그 격차가 커졌다는 겁니다. 막연히 생각할 때는 수학이던 읽기던 과목에 상관없이 성평등한 나라일수록 격차가 줄어들어야 할 것 같았거든요. 논문도 사실에 대한 기술위주여서, 그 원인에 대한 설명은 따로 하고 있지 않습니다.

 

2. 한국은 어디에?

논문의 메인 그래프 (저작권 문제로 가져올 수 없습니다.)에는 10개의 나라가 대표로 나와있어요. 이 중에 (KOR) 한국이 있어서 순간 반가웠습니다. 그러나... 한국은 왼쪽에서 두 번째, 터키 다음으로 성격차지수가 낮은 나라였습니다. 수학점수의 성별격차도 그만큼 심했구요.

10개 나라의 수학점수격차가 큰 순서대로. 터키-한국-이탈리아-미국-포르투갈-폴란드-노르웨이-스웨덴-아이슬란드 였습니다.

 

논문은 2008년에 쓰였기에 최근의 GGI지수 자료도 한번 찾아봤습니다.

 

2020년 한국에 대한 자료인데요.

2006년에 비해 모든 하위지표 수치가 올라갔습니다.

종합지수는 2006년 0.616에서 0.672로 증가했네요.

정치적 권한은 2006년 0.067에서 2020년 0.179로 높아졌습니다.

경제 참여와 기회는 2006년 0.481에서 2020년 0.555로 높아졌습니다.

건강과 교육부분에 있어서는 성별 격차가 크지 않지만 경제와 정치 부분은 격차가 큽니다.

2020년 자료에서 전체 153개국 중 한국은 종합 108위, 일본은 종합 121위를 차지했습니다.

1~3위는 각각 아이슬란드, 노르웨이, 핀란드. 151~153위는 파키스탄, 이라크, 예멘 이었습니다.

 

참고문헌

1. Guiso, L., Monte, F., Sapienza, P., & Zingales, L. (2008, May 30). Culture, Gender, and Math. Science, 320, 1164 –1165.

2. World Economic Forum Gender gap 2020 report

https://www.weforum.org/reports/gender-gap-2020-report-100-years-pay-equality

 

Global Gender Gap Report 2020

Gender parity will not be attained for 99.5 years – that’s the sobering finding of the Global Gender Gap Report 2020

www.weforum.org

 

 

반응형

'책이 좋아서 > 사회,정치' 카테고리의 다른 글

사람이 웃는 이유  (1) 2020.08.25

댓글